[마이펫뉴스=한지원 기자]
'펫 케어' 기능이 접목된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의 '펫 케어' 사용자는 지난 6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를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태에 따라 가전을 원격 제어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생활 밀착형 펫 케어 기능을 운영 중이다.
가족 구성원이 자리를 비웠을 때 반려견이 짖는 소리를 감지해 음악을 틀어주거나, 에어컨과 공기청정기로 적절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가전제품의 펫 케어 기능도 강화했다. 펫 케어 세탁 기능은 개나 고양이 알레르기 요인을 99% 제거하고, 오염 얼룩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스틱 청소기의 펫 전용 브러시는 털을 모으는 데 효과적인 V자 구조로, 엉킴 제어 그라인더가 있어 털이 감기거나 걸리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LG전자는 펫 전용 기능을 업(UP)가전 콘텐츠로 제공한다. 업가전은 가전제품 구매 후 LG 씽큐 앱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펫 관련 업가전 콘텐츠의 누적 다운로드 수는 2022∼2023년 도입 이래 약 60만건을 넘어섰다. 콘텐츠를 내려받은 고객 중 30% 이상은 기능을 꾸준히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가전을 통해 세탁기와 건조기에 적용되는 '펫 케어 세탁·건조 코스'는 반려동물로 인한 오염을 더 섬세히 세탁하고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용 '펫 모드'는 초기 30분간 터보 모드로 세게 돌아 반려동물의 털과 냄새를 제거하고, 전자레인지에 적용되는 '펫 안전 모드'는 반려동물이 제품의 전원을 켜는 것을 방지한다.
LG전자는 건조기용 펫 필터, 펫 케어 건조볼 등 펫 관련 액세서리도 출시한 바 있다. 반려묘용 좌석 액세서리를 결합한 'LG 퓨리케어 에어로캣타워'도 관심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