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홀로 읽는 도덕경
-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인 저자가 노자 철학의 핵심으로 꼽히는 '도덕경'의 새 독서법을 제시한 책이다.
저자는...
- 2021-05-26
- 문명과 물질
-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물질은 문명과 함께 진보해왔다.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등 특정 시대를 지칭하는 용...
- 2021-05-16
- 두 발의 고독
-
노르웨이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저자가 어느 날 뇌전증 진단을 받자 운전면허증을 반납하고 모든 길을 걸어서 이동하...
- 2021-05-16
- 진보적 노인
-
보스는 나이 든 세대, 진보는 젊은 세대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 이번 4.7재보궐선거에서 20대는 보수, 40대는 진보에 표...
- 2021-05-09
- 행동의 전염
-
전기차의 시대는 불현듯 닥쳐오고 있다. 아직 전기차가 대세가 되기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해 보이지만, 불과 2~3년 전과...
- 2021-05-09
- 무지개다리 건너 또 만나자
-
열다섯 살 개부터 스물다섯 살 고양이까지
우리 곁에 오래 머물다 떠나간 작은 친구들과의 추억들,
그리고 함께 나...
- 2021-04-30
- 당신의 삶은 충분히 의미 있다
-
나는 정말로 어떤 사람일까? 또 어떤 삶을 살 수 있을까? 지금처럼 사는 게 과연 의미가 있는가?
오스트리아 출신의 정...
- 2021-04-30
- 인구 대역전
-
지난 40여 년간 세계 물가가 안정세를 보여온 게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덕분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이들이 ...
- 2021-04-30
- 고통 없는 사회
-
고통이 사라진다면, 인간은 행복할까?
"오늘날 고통 경험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고통이 무의미한 것으로 지각...
- 2021-04-30
- 감시자본주의 시대
-
구글에서 검색한 기록이나 페이스북의 '좋아요' 클릭 등이 맞춤형 추천으로 이어지는 알고리즘은 오늘날 당연한 ...
- 2021-04-30
- 적정한 삶
-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인 저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울과 분노가 익숙한 시대에 어떤 ...
- 2021-04-23
- 부족국가 대한민국
-
‘다작의 논객’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가 ‘부족국가’라는 키워드로 문재인 정부의 성찰 ...
- 2021-04-17
- 한국적인 것은 없다
-
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오랫동안 천착해온 철학자 탁석산이 이번에는 "한국적인 것은 없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
- 2021-04-17
- 24개 한자로 읽는 동양문화(전 2권)
-
한자의 세계가 흥미롭다. 예컨대 공(公)과 사(私) 같은 다소 추상적인 의미를 가진 글자는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을...
- 2021-04-11
- 제왕의 스승 장량
-
“내가 그대를 얻은 것은 고조가 장자방을 얻은 것과 같다.” 『삼국지』의 조조가 책사 순욱에게 한 말이다. 장...
- 2021-04-07
- 나 홀로 읽는 도덕경
-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인 저자가 노자 철학의 핵심으로 꼽히는 '도덕경'의 새 독서법을 제시한 책이다.
저자는...
- 2021-04-07
- 디지털 화폐
-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1개에 7,000만 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되는 비트코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비...
- 2021-04-07
- 의도하지 않은 결과
-
미국 애리조나의 페트리 파이드 포레스트 국립공원은 화석화된 나무인 규화목으로 유명하다. 문제는 관광객들이 규화...
- 2021-04-01
-
- 우아하게 나이 들기
-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한다. 그리고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넘어서면 고령 사회, 20%를 넘어서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한다. 우리사회는 이미 65...
- 2021-04-01
- 문화재 공부법
-
2018년 절판된 이후 새로 나온 개정판이다. 지은이는 문화재를 보는 3가지 방법론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첫째, 문화...
-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