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현생인류가 살아남은 것은 개와 협력해 네안데르탈인을 물리쳤기 때문이라는 학설이 제기됐다.
최근 미국의 저명한 인류학자인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팻 쉽먼 교수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7만 년 전 부터 늑대를 개로 길들이기 시작했다는 주장을 펼쳐 관심을 끌고있다. 특히 교수는 호모 사피엔스가 개와 친구가 된 덕분에 당시 세상을 지배했던 네안데르탈인을 물리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인류와 개의 오랜 인연을 담은 이같은 파격적인 주장은 조만간 발간될 그의 저서(The Invaders: How Humans and Their Dogs Drove Neanderthals to Extinction)에 고스란히 담겼다. 그간 학계에서는 인간과 개가 언제부터 함께 살았는지, 어떻게 친구가 됐는지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다. 그 이유는 늑대와 개의 화석이 매우 유사해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같은 갯과 화석 분석을 통해 개의 가축화를 길게는 3만 년 전부터 짧게는 신석기 시대인 1만 년 전 정도로 추정해 왔다.
쉽먼 교수의 주장은 인간과 개의 인연이 이보다 훨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교수는 이같은 주장의 근거로 5만년 전 늑대 혹은 개가 사슴을 쫓는 모습을 담은 벽화 등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학계에 따르면 약 25만 년 전부터 4만 년 전까지 유럽을 지배하던 종족은 네안데르탈인이었다. 그러나 현생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가 유럽으로 유입되면서 점점 네안데르탈인이 밀려나기 시작, 결국에는 멸종한다. 이같은 원인에 대해 지구의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지만 쉽먼 교수의 주장은 조금 다르다.
쉽먼 교수는 "호모 사피엔스는 개-늑대와 협력해 사냥하는 방법을 알았다" 면서 "개-늑대가 동물을 쫓아다니며 지치게 만들면 창으로 무장한 호모 사피엔스가 죽인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렇게 사냥한 먹잇감을 호모 사피엔스와 개-늑대가 나눠먹어 소위 '윈윈 게임'이 됐다"고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개와 연합한 호모 사피엔스는 발달된 사냥 기술 덕에 커다란 동물도 사냥해 먹을 수 있었던 반면 네안데르탈인은 이에 실패해 결국 먹잇감도 뺐기면서 사라질 수 밖에 없었다는 것.
한편 인간과 개가 친구가 된 이유에는 두가지 이론이 있다. 하나는 과거 인간이 사냥 시 늑대를 동료로 활용해 이후 일부 늑대가 개가 되었다는 이론으로 이는 쉽먼 교수의 주장과 맥을 같이한다. 또 하나는 인간이 살던 거주지 주변의 음식물을 늑대가 먹기 시작하면서 결과적으로 인간과 함께 살게 되었다는 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