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산불 감시체계를 구축해 스마트 산불 대응 시스템을 본격 운영한다.
관악산 모자봉(왼쪽)과 장군봉(오른쪽)에 설치된 CCTV(통신중계기).관악구(구청장 박준희)는 12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을 맞아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 중인 관악산 일대에 ‘인공지능(AI) 산불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첨단 산불 대비 체계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구는 서울시와 산림청의 지원을 받아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관악산 주요 지점에 산불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제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이 시스템은 연주대 등 주요 지점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영상을 인공지능이 실시간으로 분석해 연기나 불꽃을 감지하면 즉시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산불로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인공지능 감시 시스템과 연동된 드론이 자동으로 현장에 출동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신하며, 관제센터는 이를 바탕으로 진화 인력을 신속히 투입할 수 있다.
구 관계자는 “기존 CCTV로 확인이 어려운 지역까지 촘촘히 감시할 수 있어 산불 발생 위치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구는 남현동 일대 관악산 주요 능선부에 평균 15m 높이의 ‘수관수막타워’ 3기를 설치했다. 이 시설은 최대 40분간 반경 40m를 360도 회전하며 살수할 수 있고, 원격제어 시스템을 통해 강풍이 부는 능선에서도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와 함께 주요 등산로와 임야 진입로에는 ‘산불 감시용 블랙박스’를 설치해 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물 공급이 어려운 산림 지역에는 ‘고압 수관 장비 보관함’을 비치해 초기 진화 대응력을 강화했다.
산불 전문 예방 진화대에는 개인 진화 장비 세트를 확대 지급하고, 산불 취약지역에는 약 3톤의 친환경 산불 지연제를 살포해 불길 확산을 최소화하고 있다.
관악산 인공지능 기반 산불 감시 시스템과 산불소화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악구청 여가도시과(☎02-879-654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준희 구청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산불 감시체계를 통해 선제적인 불씨 관리와 신속한 대응으로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안전도시 관악을 만들어 가겠다”며 “관악산을 찾는 방문객들이 안전 수칙을 지키며 단풍과 함께 깊어가는 가을을 즐기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