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동물병원마다 진료비가 천양지차지만 비용을 사전 공지하는 경우는 1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지난달 수도권 내 동물병원 50곳을 방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가격 차가 가장 많이 난 진료 항목은 치과였다.
발치는 최대 80배, 치석 제거는 최대 35배 차이가 났다.
중성화 수술은 약 5배, 예방접종은 항목에 따라 2∼4.7배 차이가 벌어졌고 1일 입원비도 최대 4.5배 차이 났다.
그러나 조사대상 50곳 중 진료비를 사전에 게시한 곳은 18%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병원 내외부 어디에도 가격정보를 게시하지 않았다.
소비자연맹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반려동물 관련 지출에서 가장 부담이 큰 부분으로 병원비(84.8%)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동물병원 1회 방문 시 평균 지출 금액은 약 7만4천700원이었다.
진료 전 진료비 정보를 받은 경우는 26%에 불과했다.
소비자의 61%는 동물병원 방문 전 인터넷 검색이나 커뮤니티를 통해 진료비를 비교했다.
다만 진료비 정보를 알기 어렵고 전문적인 내용이라 비교 자체가 어려워 비교하지 않는다는 소비자도 18.4%였다.
응답자들은 개선 사항으로 진료비 정보 게시 의무화(66.1%)를 가장 많이 꼽았고, 반려동물 적정 진료 항목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60.7%나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