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 |
||
우선 책에 따르면 고추는 기원전 8000~7000년경 중남미에서 재배되기 시작해 1492년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계기로 유럽 등지에 전해졌다. 이 과정의 핵심적인 고리가 된 것은 노예무역이었으며, 최대의 공헌자는 포르투갈인이었다. 사탕수수를 재배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노예를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고 간 이들이 돌아오는 길에 중남미의 작물인 옥수수, 카사바와 함께 고추도 가져간 것. 포르투갈인은 이후 개척한 인도 항로를 비롯해 전 세계로 뻗은 무역 루트를 통해 고추를 일본에까지 전했다. 또 고추의 원산지인 중남미에서 출발해 지구를 오른쪽으로 돌며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고추가 전파된 길, 즉 ‘페퍼 로드(pepper road)’를 따라가며 소개하는 각국의 음식문화는 무척이나 흥미롭다. 이를테면 유럽에서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건너온 토마토 등에 대해 ‘독이 들어있다’ 등의 편견 때문에 이탈리아를 제외하고 고추가 들어간 요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이탈리아에서는 어째서 고추 아카데미까지 생겨나고 매운맛을 즐기게 됐는지 그 이유가 눈길을 끈다. 또 진정한 고추 마니아인 부탄 사람들의 매운맛에 대한 극진한 사랑, 고추가 들어간 커피를 즐기는 에티오피아인들, 일본에서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한 고추가 한국에서는 김치 문화를 낳는 등 번성할 수 있었는지 등에 대한 문화적 분석도 재미를 더한다.
야마모토 노리오 지음/ 최용우 옮김/ 사계절 펴냄/ 1만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