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2일 오후 10시 KBS1 ‘생로병사의 비밀’은 반려견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반려견과 함께하는 생활은 신체활동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우리 몸을 건강하게 만든다. 반려견과의 교감은 심리적 위안과 정서적 안정도 가져다준다.
경기도 여주의 한 노인병원에서는 치매와 우울증을 앓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도우미견이 함께하는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한 달 뒤 극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동물매개치료를 받은 노인들은 인지기능이 향상되고 우울감이 크게 감소했다. 반려견과의 상호작용이 노인의 삶에 행복감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김주환·성미선씨 부부는 최근 열린 캐니크로스 대회(사람과 개가 함께 달리는 경기)에서 각각 2등을 차지했다. 주환씨는 몇년 전까지만 해도 당뇨진단을 받은 후 늘 몸이 피곤했다. 미선씨는 과체중으로 인해 공부를 하는 것이 힘들었다. 하지만 반려견 까뮈, 아야와 함께 달리기 시작하면서 부부는 건강을 되찾았다. 부부는 반려견과 함께 달리면서 운동효과가 높아졌고 일상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전북 익산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반려견을 통한 혁신적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유기견 성이와 당이가 학교 곳곳을 자유롭게 누비며 아이들과 교감하는 것이다. 심지어 수업시간에도 아이들은 성이와 당이를 쓰다듬으며 말을 걸기도 한다. 그 결과 아이들은 불안과 우울 장애를 극복하고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이 높아졌다. 동물을 무서워하던 서연이는 하루에 한 번씩 강아지를 쓰다듬고, 늘 홀로 떨어져 있던 현서는 반려견을 통해 친구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됐다. 아이들은 반려견 덕분에 학교생활이 즐거워졌다고 말한다.
유달리 개가 인간과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간이 개를 쓰다듬을 때 인간의 뇌에서는 행복의 호르몬이라 알려진 옥시토신이 분비된다. 놀라운 것은 개에게서도 옥시토신이 분비된다는 점이다.